👩👧 국민연금 vs 연금저축 차이점! 쉽게 알려드릴게요 💡
육아하며 바쁜 와중에도, 엄마로서 아이 미래도 생각하고 내 노후도 준비해야 하잖아요?
그럴 때 많이 듣는 단어가 바로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이에요.
근데... 둘 다 ‘연금’이니까 헷갈리죠?
지금부터 차이점, 공통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 어떤 걸 준비하면 좋은지
엄마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쏙쏙 골라서 알려드릴게요 💌
일단, 우리가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듣는 용어에 대해 정리해볼꼐요
국민연금 vs 연금저축, 뭐가 달라요?
아주 쉽게 설명해볼게요 :)
엄마들을 위한 연금제도이니 만큼, 기준은 가정주부 혹은 워킹망이 되겠어요.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맨 하단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가입해야 하는지
꼭 확인 한 다음에, 시간을 절약해보세요!
국민연금에 대해서 바로 알아보기
나라에서 운영하는 공적연금이라고 이해하면 쉬워요.
만 18세 이상으로 소득이 있는 누구나 직접 본인이 가입할 수 있어요
우리가 첫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바로 자동으로 가입됩니다.
Q. 나는 연금을 낸 적이 없는데, 65세 이후에 받을 수 있는 건가?라고 물어보신다면
A. 이제는 월급날 원천징수를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원천징수에 월 소득의 일정 비율인 9%를 매달 자동으로 납부하고 있을 거예요.
이 말인즉슨, 실수령액이 250만 원으로 알았으나
세금 떼고 뭐 하고 하니 235만 원...? 이러신 적 있죠? 이경우와 같아요.
우리가 어디에 세금을 내고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국민연금은, 세액 공제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수령시기는 만 65세로 공통 기준으로 잡혀있어요.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이 65세가 되면 국민연금을 받는다.
평생 동안 매월 받는다! 그래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죠.
그렇다면 이 돈은 어디에서 관리하는가? 바로, 국민연금공단이에요.
연금저축에 대해서 바로 알아보기
그렇다면, 많이 들어본 연금저축, 연금저축은 대체 무엇이길래 우리가 알아야 할까?
잠시 이야기를 해보면, 우리나라는 80-90 시대에 아이들을 위해서 부모가 희생하였고
또 그 아이들이 커서 부모님을 부양해야 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어요.
왜냐하면? 그전 세대가 그렇게 커왔기 때문이죠.
그리하여, 은행과 여러 증권사인 기관들에서,
이렇게 노후를 준비하지 않다가 큰일 나겠다! 해서 좋은 의도로 만든 것이 바로 '연금저축'입니다.
그리하여 연금저축은, 당연히 개인이 선택하는 사적연금입니다.
본인이 직접 가입하여 자유선택이죠, 가입을 안 하면? 받을 금액이 없고, 가입을 해서 투자하면? 그만큼 돌아와요.
요즘에는 필수라고도 부르고 있죠,
입금은, 매월 자율적으로 일정 금액을 납입할 수 있어요. 최대 400만 원까지 세제공제혜택을 줍니다.
1년에 최대 400만 원까지입니다.
따라서 500만 원을 넣었다면 400만 원은 비과세이고 100만 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공제하고 수령합니다.
수령날짜는, 만 55세부터 가능합니다. 하지만, 설정 기간을 늘려서 수령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어요.
증권사, 은행, 보험사 등 민간 금융사에서 운용하고 있고 (가입이 가능하다는 거죠)
직장인 A 씨, 주부 B 씨 어떻게 가입하면 좋을까?
직장인 A 씨는 소득이 있기 때문에 바로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어요.
또한, 퇴직연금이라는 새로운 IRP 서비스를 가입할 수 있고요,
ISA로 연금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주부 B 씨는 소득이 하나도 없어요, 이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퇴직연금 IRP는 없지만,
국민연금과 ISA로 세금을 아껴서 노후 대비가 가능해요.
👩👧👦 언제부터 해야 할까?
엄마가 되고 나서 아이에게만 집중하고 있는 엄마들 정말 멋집니다.
하지만 우리가 나중에 노후에 아이들에게 짐이 된다면,
아이가 우리를 원망하지 않을까..? 저는 좀 걱정도 되더라고요
우리 아이가 자라서 엄마를 의지하지 않아도 되도록 지금부터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노후 준비를 해보는 거 어때요?
국민연금은 기본, 연금저축으로 세제 혜택까지 챙기고, ISA로는 여유 자금을 불려 가는 센스!
💸 엄마의 내일은 아이의 오늘만큼 소중하니까요🌼
궁금한 내용 더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시지 주세요~ 같이 공부해요!